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싱크홀(지반침하) 안전지도

by 다알마 2025. 7. 11.
반응형

 

 

 

서울시 ‘싱크홀(지반침하) 안전지도’는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과 한국지하안전협회가 서울시 426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지반·지하수·지하철 분포·과거 지반침하 이력·노후 건물 분포의 다섯 요소를 분석하여 1등급(안전)5등급(위험)으로 구분한 지도로, 올해 4~6월 사이 외부에 공개되었습니다


지도 주요 결과 🌐

  • 4·5등급(위험) 지역 비중
    전체 면적의 50.2%에 해당하는 303 km², 행정동 208곳이 여기에 속함
  • 고위험 지역(5등급)
    여의동 · 압구정동 · 삼성1동 · 명일2동 등 한강 변과 도심권역 일부 자치구(강남, 강동, 마포, 영등포 등)에 집중 
  • 사고 연관성
    2018년 이후 발생한 **132건의 싱크홀 중 90건(68.2%)**이 4·5등급 지역에서 발생
    사망사고 3건과 깊이 5m 이상 대형 싱크홀 사례 3곳 모두 4·5등급 지역에서 발생 

원인 분석 및 제안 🔍

  • 지하 구조물 밀집 & 공사 영향
    지하철·상하수도·통신선망 등의 밀집 지역은 지하수 변화, 누수, 공사 시 발생하는 지반 동요 등의 위험 요인이 많아 침하 위험이 큼 
  • 굴착공사와 관리 부실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는 지하안전영향평가를 받아야 하나, 명일2동 같은 사고 발생지에서도 평가를 통과했음에도 인명피해 발생 
  • 초기 징후 대응 필요
    전문가들은 “작은 균열이나 침하 징후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즉각 관리”할 것을 강조 

서울시 반응 및 공개 현황 📢

  • 공개 지연 이유:
    서울시는 안전정보 공개가 시민 불안·부동산 영향 초래 가능성 등을 이유로 공개를 늦추고 있으며, 현재는 GPR(지반레이더) 조사 구간 및 공동 정보만 제한적으로 지도화하여 「서울안전누리」에서 제공 중
  • 정보공개 요구:
    시민단체와 국회에서도 지반침하 안전정보의 즉각 공개와 제도적 보강(강화된 모니터링·법적 의무화 등)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진행 중 .

정보 확인 및 대응 방법 ✅

  1. 국토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사고 이력·공사 위치 등의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조회 가능 
  2. 서울시 ‘안전누리’:
    GPR 조사 구간과 공동 탐지 정보를 공개하며 실시간 업데이트 .
  3. 민간 지도 및 앱 활용:
    네이버, 카카오맵 등에서 ‘공사중’ 정보 레이어로 우회 경로 파악 가능하며, 일부 지자체·시민 제공 실시간 제보 지도 존재 

정리

  • 서울시 행정동의 절반 이상 지역이 지반침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도심과 한강 주변 집중됨.
  • 대다수 사고가 고위험 등급 지역에서 발생했고, 초기 균열 및 지반 경고는 엄밀히 모니터링 해야 함.
  • 시는 아직 적극적 공개를 꺼리지만, 국토부 시스템·민간 지도를 통해 정보 확인 및 주의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