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생회복 소비쿠폰 2만원 더 받는 인구소멸지역

by 다알마 2025. 7. 20.
반응형


아래는 2025년 기준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을 정리한 최신 목록입니다. 도시 자치구(대구, 부산 등 5곳)를 제외한 시·군만 포함했어요.


인구감소지역 지정 개요 🏘️

  •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5년 주기로 지정
  • 2021년 첫 지정 때 89개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 (mois.go.kr)
  • 지정 기준은 8개 지표:
    • 연평균 인구증감률
    • 인구밀도
    • 청년 순이동률
    • 조출생률
    • 고령화 비율
    • 유소년 비율
    • 재정자립도
    • 주간인구 등 

 

📍 2025년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 대구 (1곳): 군위군
  • 인천 (2곳): 강화군, 옹진군
  • 경기 (2곳): 가평군, 연천군
  • 강원 (12곳):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 충북 (6곳):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 충남 (9곳):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전북 (10곳):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 전남 (16곳):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 경북 (15곳):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11곳):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특성 & 시사점

  • 해당 지역들은 젊은 인구 유출과 고령화, 저출산, 경제 인프라 부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소멸 위험이 큽니다. 특히 강원·전남·경북 같은 산간·도서 농어촌 지역이 집중됨
  • 정부는 이들 농어촌 소멸 지역에 대해 특례 규제 완화, 농촌 협약, 국비 지원 등을 통해 정주 여건 개선청년 유입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 요약 정리

대상 지역 수 84개 시·군
지정 기준 고령화, 인구 감소율, 청년·여성 인구 비율, 재정자립도 등 지표 활용
주요 지역 강원·전남·경북 등 농어촌 밀집
정부 계획 규제 완화, 농촌재생, 청년 정착 지원, 디지털 인프라 확충 등

 

 


농촌특화 소멸위험지역 지정 추진

  • 읍·면 단위로 더 정밀한 ‘농촌소멸위험지역’ 지정 계획
  • 고령농 비율, 농지 활용도 등 농촌 특성 반영
  • 규제 완화 및 빈집 활용 등 행정·농식품부 차원의 특례 지원 대상

특례 및 지원 방안

정부는 인구감소(소멸위험) 대응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 지역혁신프로젝트: 31개 기초자치단체 선정, 부처 간 협업 패키지 지원 (mafra.go.kr)
  • 농촌협약: 농촌재생 활성화, 주거환경·서비스 개선사업 등에 국비 최대 300억 원 지원
  • 규제 완화: 산지 전용 허가 기준 완화, 빈집 숙박업 등 용도 전환 우대

인구감소지역의 현황과 과제

  • 읍·면 단위 인구 2천명 미만 지역이 2000년 177곳에서 2023년 392곳으로 증가
  • 전체 행정리의 73.5%가 소매점조차 없는 상태
  • 농촌의 고령화, 청년 유출, 서비스 인프라 결핍 등으로 삶의 질 격차가 큰 상황
  • 농촌은 여전히 경제·일자리 측면에서 도시 대비 낮은 정주 만족도가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