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47차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Global Privacy Assembly, GPA)

by 다알마 2025. 9. 18.
반응형

 

 

제47차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Global Privacy Assembly, GPA)에 대해 아래처럼 정리해드릴게요. 최신 정보 위주로, 중요 포인트도 같이 담았습니다.


📌 개요

  • 행사명: 제47차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 (47th Global Privacy Assembly, GPA)
  • 기간: 2025년 9월 15일 ~ 9월 19일 (www.pipc.go.kr)
  • 장소: 대한민국 서울, 그랜드 하얏트 서울 
  • 주최/주관: 대한민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PIPC) 

🎯 주제 & 주요 내용

  • 메인 주제: AI 시대의 개인정보 이슈 (“Artificial Intelligence in Our Daily Lives: Data and Privacy Issues”) 
  • 중점 논의 분야들:
    1. 글로벌 데이터 거버넌스 강화 
    2. 감독기관(Data Protection Authorities, DPAs)의 역할 및 국제 협력 확대 
    3. 규제 격차(Regulatory Gaps) 해소 
    4. AI 에이전트, 개인정보 기술 강화, 국경 간 데이터 이전, 합성 데이터(synthetic data) 활용 등 기술·정책 이슈 

🌍 참가 규모 & 구성

  • 참가국 / 기관: 95개국 148개 개인정보 감독기구 참여 예정 
  • 참석 인원: 약 1000명 규모 예상 
  • 참석자 구성: 감독기관 관계자, 법·규제 전문가, 산업계, 학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 

🔍 행사 구성

  • 사전 행사 (Pre-Events) 포함하여 총회 + 부대 행사 있음
  • 패널토론 약 20여 개 세션 예정 
  • 기조 연설(Keynotes), 병렬 세션(Parallel sessions), 정책 포럼, 전시부스, 문화체험, 네트워킹 등이 행사 프로그램에 포함됨 

🔔 중요 발언 및 의의

  •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개회식에서 한국이 이번 총회를 계기로 “국제사회 협력과 연대의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함. 
  • AI 기술이 가져오는 혁신과 동시에 발생하는 개인정보 침해, 통제권 약화 등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국경을 넘어선 규제 및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이 반복적으로 언급됨. 

⚠️ 유의사항 & 기대 포인트

  • 규제의 국제적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규제 기준이 달라 발생하는 공백(Gap)을 줄이는 것이 필요함.
  •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vs. AI 등 신기술 활용의 균형이 중요함. 기술 혁신이 정책·법제도 대비 늦을 경우 위험이 커질 수 있음.
  • 감독기관의 역량 강화와 실행력(enforcement)의 중요성 강조됨. 선언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적용 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시스템 마련 필요.
  • 한국이 주최국으로서 국내 정책 모델을 해외에 선보이고, 글로벌 규범 형성 과정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기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