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APEC 한미 정상회담 : 한국의 대응 전략 (트럼프 2기 상황 반영)

by 다알마 2025. 10. 29.
반응형

연합뉴스

 

2025년 경주 APEC 정상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초반에 열리는 중요한 다자 외교 무대입니다. 특히, APEC 기간 중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은 경제 안보동맹 현대화라는 두 가지 큰 축을 중심으로 한국의 복잡한 대응 전략이 요구됩니다.


1. 💰 핵심 현안 I : 경제 안보 및 통상 문제 대응

 

트럼프 2기 미국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속에서, 한국은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장 접근을 확보하는 데 집중합니다.

 

1.1. 관세 협상 및 무역 합의 이행

 

  • 현안: 2025년 중반에 논의된 관세 협상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 및 한국 기업의 1,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의 운용 방안이 핵심 쟁점입니다. 특히, 자동차 25% 관세 인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를 최종 타결하는 것이 한국의 최우선 목표입니다.
  • 한국의 대응 전략
  • 호혜성 강조: 한국 기업의 대규모 대미 투자(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가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는 '호혜적 성과'임을 강조하며 협상 지렛대로 활용합니다.
  • 비관세 장벽 제거: 자동차 안전 규제 완화, 농산물 검역 절차 개선 등 비관세 장벽 해소 합의를 실무적으로 공고히 하여, 실질적인 수출 환경 개선을 도모합니다.

 

1.2. 공급망 및 핵심 기술 협력

 

  • 현안: 미·중 전략 경쟁 심화 속에서 핵심 광물,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기술 분야의 공급망 분리(디커플링) 요구에 대한 공동 대응이 필요합니다.
  • 한국의 대응 전략:
  • 공급망 회복력 증진: APEC의 공식 의제인 '공급망 회복력'을 활용하여, 한미일 3각 협력 틀 내에서 핵심 소재·장비의 안정적 조달망을 확보하고, 한국의 첨단 제조 역량을 미국과의 협력 플랫폼으로 제시합니다.
  • AI 및 디지털 규범 선도: APEC 의장국으로서 'AI 협력' 의제를 주도하고, 디지털 통상 규범, 데이터 이동 및 보안 등에서 한미 간 규범 조율을 선도하여 디지털 경제 분야 협력을 미래 지향적으로 발전시킵니다.

2. 🛡️ 핵심 현안 II: 한미 동맹 및 안보 협력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관련 발언 가능성에 대비하며, 한미 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구상을 강조합니다.

 

2.1. 동맹 비용 분담 및 안정성 확보

 

  • 현안: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분담금 대폭 증액 요구주한미군 주둔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 가능성.
  • 한국의 대응 전략:
  • 자주 국방 의지 표명: 한국의 국방비 증액자체 국방력 강화 노력을 구체적인 수치와 계획으로 제시하여, 안보에 대한 한국의 책임 있는 자세를 강조하고 미국의 압박을 완화합니다.
  • 미래 동맹 가치 강조: 첨단 과학기술사이버 안보, 우주 등 새로운 영역에서의 협력을 강조하며, 한미 동맹의 가치를 단순히 '비용'이 아닌 '미래 전략' 차원으로 격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2.2. 북한 비핵화 및 대북 정책 공조

 

  • 현안: 북한의 도발 지속 및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한 입장 확인.
  • 한국의 대응 전략:
  • 한미 공조 재확인: 북한 비핵화 목표 및 대북 제재 이행에 대한 한미 간 공조를 재확인하고, 북한-미국 간 대화가 재개될 경우 한국의 역할과 위상을 사전에 조율하여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