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이스트(KAIST) 총장 후보

by 다알마 2025. 10. 31.
반응형

 

카이스트(KAIST) 총장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교육과 연구를 이끌고 국가 AI, 반도체 전략의 핵심을 담당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카이스트의 위상과 현재 국가적 과학기술 환경을 고려할 때, 총장에게는 기술 혁신, 국제적 리더십, 그리고 강력한 경영 능력이 요구됩니다.


💡 카이스트 총장에 어울릴 만한 전문가 추천 기준

 

카이스트 총장에게는 다음 세 가지 핵심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적합합니다.

  1. 국제적 명성과 비전: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 유수 대학 및 기관과의 대규모 협력을 이끌 수 있는 국제적인 네트워크와 명성을 가진 인물.
  2. 첨단 분야 리더십 (AI 및 반도체): 현재 국가적 핵심 과제인 AI 인재 양성, 소버린 AI, 첨단 반도체 연구 등에서 구체적인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물.
  3. 학내 소통 및 경영 능력: 교수, 학생, 교직원 등 학내 구성원의 신뢰를 얻고, 정부 부처 및 산업계와 원활하게 소통하며 대학을 안정적으로 이끌 강력한 경영 능력을 가진 인물.

🔎 카이스트 총장 선임 절차 및 최근 후보군

 

카이스트 총장 선임은 엄격하고 복잡한 절차를 거칩니다. 현재 제18대 총장 선출 절차가 진행 중이거나 지연되고 있으며, 연임에 도전하는 현 총장을 포함한 여러 후보가 거론되었습니다.

 

1. 총장 선임 절차

 

카이스트 총장 선임은 크게 발굴, 선임, 검증 및 승인의 4단계로 진행됩니다.

  • 후보 발굴
  • 총장후보발굴위원회(총발위)와 교수협의회 산하 총장후보추천위원회(총추위)에서 후보를 발굴합니다.
  • 학내외 인사들의 자천과 외부 공모도 가능합니다.
  • 후보 선임
  • 총장후보선임위원회에서 발굴된 후보 중 최종 3배수를 선정하여 KAIST 이사회에 추천합니다.
  • 인사 검증
  • 최종 3배수 후보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실, 법무부 등의 협의를 통한 인사 검증 절차를 거칩니다.
  • 최종 승인
  • 인사 검증을 통과한 후보자 중 KAIST 이사회가 투표를 통해 최종 1인을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에게 추천합니다.
  • 과기정통부 장관교육부 장관의 동의를 얻어 최종 승인함으로써 임명이 완료됩니다. (총장은 장관급에 준하는 대우를 받습니다.)

 

2. 최근 총장 후보군 (제18대 총장 선출 과정)

 

최근 제18대 총장 선출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후보로 거론되거나 최종 3배수에 포함되었습니다.

구분 주요 인물 (일부) 주요 특징
최종 3배수 후보 이광형 (현 총장, 연임 도전) 전산학부, AI 및 창의성 강조
김정호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처장 역임, AI/반도체 연구 역량 강화 공약
이용훈 전 UNIST 총장 KAIST 교수 출신, 전 울산과학기술원 총장 역임

참고 : 현재(2025년 10월) 카이스트는 이광형 현 총장의 임기가 공식적으로 끝났음에도 후임자 인선이 지연되어 총장으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임시 체제가 6개월 이상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선 지연은 주로 최종 후보 3인에 대한 인사 검증 및 대통령실의 최종 재가 절차 지연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