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4

디즈니런 서울 2025 2025년의 가장 설레는 가을 러닝 축제, 디즈니런 서울 2025에 대해 정리해드릴게요 🎉🗓 일정 & 장소개최 시기: 2025년 10월 중 (정확한 날짜는 추후 공식 발표 예정) 장소: 서울 도심 일대 (코스 명칭, 출발/도착 지점 등 세부 정보는 곧 공개)🎽 이벤트 구성1. 디즈니 캐릭터와 함께 달리는 러닝미키, 미니, 도널드덕 등 인기 캐릭터들이 함께 러닝존에 등장해 러닝 동반 및 사진 촬영 기회 제공 코스 곳곳에 테마 포토존 설치 예정, 현장에서 캐릭터와 인증샷 가능2. 다양한 코스 옵션5km, 10km, 키즈런 등 남녀노소 참가할 수 있는 다양한 난이도의 코스 구성 예상미국 runDisney 시리즈처럼 하프·풀 마라톤 추가 구성도 기대됨3. 메달 & 굿즈모든 참가자에게 디즈니 캐릭터가 디자인.. 2025. 6. 23.
지역별 RISE 사업 수행 대학 명단 아래는 지역별 RISE 사업 수행 대학 명단입니다. 시·도별 선정 결과와 주요 대학을 정리했으며, 대표 사례 위주로 제공합니다.📌 경기도2025년 RISE 수행대학 총 50개교 선정 (일반대 25개, 전문대 25개) (gp.go.kr, gnews.gg.go.kr).주요 선정 유형 및 예시:일반대(미래성장산업 선도형): 가톨릭대 등 7개전문대(해당 유형): 경복대 등 3개지역클러스터육성형: 동국대, 경기과기대 등평생직업교육 거점형 컨소시엄: 성결대·용인예술과학대 컨소시엄 등 사업비:유형별 학교당 연간 15~40억 원 수준📌 대전광역시총 13개 대학 선정건양대(메디컬 캠퍼스), 국립한밭대, 대덕대, 대전과기대, 대전대, 대전보건대,목원대, 배재대, 우송대, 우송정보대학, 을지대, 충남대, 한남대.이 대학.. 2025. 6. 22.
RISE 사업의 예산 지원 구조 현행 RISE 사업의 예산 지원 구조는 중앙 정부(교육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재정 권한의 이양 및 지역 주도 예산 운영이라는 핵심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아래에 상세히 정리해 드릴게요.1. 예산 출처 및 통합 구조 📊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예산의 50% 이상 (약 2조 원 이상)을 시·도 단계로 이관하여 지역 주도로 운영합니다. 이는 기존 대학지원사업(RIS, LINC 3.0, LiFE, HiVE, 지방대활성화 등)을 RISE 사업으로 통합 및 재구성함을 의미합니다.2025년부터 2029년까지 5개년 RISE 예산 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중앙 예산은 재정지원 + 성과 평가 기반 유도 역할을 수행합니다.2025~2030년 기간에는 총 약 20조 1000억 원의 예산이 RISE 사업에 투자될 예정입니다... 2025. 6. 21.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은 지자체와 대학이 지역 발전 목표를 함께 세우고, 대학에 대한 행·재정권을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새로운 고등교육 협력 모델입니다. 2025년 전국 시·도 교육청에 전면 도입 예정이며, 2023~24년은 7개 시·도가 시범지역으로 운영 중입니다🧭 RISE 주요 구성 요소1. 목표대학은 ‘지역 혁신 허브’로 성장, 지역 발전을 이끄는 핵심 거점으로 역할 확대지자체는 지역 대학을 전략적으로 육성하여 경쟁력 있는 고등교육 플랫폼 구축2. 중앙·지방 역할 분담교육부는 대학의 교육·연구 기능을 집중 지원지자체는 행·재정권을 활용해 산학연·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을 지역 전략에 맞춰 지원3. 재정 구조 개편교육부의 관련 대학재정.. 2025. 6. 20.